원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다.
감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정부가 주도하는 사업을 지원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다.
송병억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이번 공사법 개정으로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매립에 국한되지 않고, 자원순환을 바탕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물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 직매립이 금지되면수도권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방법이 없다.
수도권3개 시·도가 매년매립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의 양을 총량으로 정해 줄이고는 있는데 올해 할당된 양만 해도 50만t.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시민안전위원장]수도권매립지에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연차적으로 금지된다.
문제는매립이 금지되면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하루 약 1704t의 생활폐기물이 갈 곳이 없다는 점이다.
수도권자치단체 중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서 공공.
https://www.nahaengdong.co.kr/
수도권곳곳에서 수거한 쓰레기가 쌓여 있는 모습.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환경부는 유예 기간 동안 지자체가수도권매립지에 쓰레기를 직매립할 때 드는 부담을 높여 소각장 증설을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폐기물처분부담금 누진세율’을 검토 중이다.
90만㎡로 줄이고 유치 지자체 특별지원금도 3천억원까지 올렸지만수도권지방자치단체 어느 곳도 매립지 유치를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10년 전 예측과는 달리매립용량만 따지면 3-1공구의 실질적인매립종료 시점은 2042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는 추산.
[광주=뉴시스]매립된 쓰레기.
27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 상반기.
거센 소각장 건립에 각 후보자들이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
민간 소각장에 위탁할 경우 비용이 문제다.
환경부에 따르면수도권매립지의매립단가는 1톤당 9만 8000원인 데 민간 소각장의 평균 소각 단가는 1톤당 26만 6000원으로수도권매립지의매립단가보다 약.
소각은 폐기물매립양을 줄일 수 있지만 대기오염 문제가 크다.
매립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2026년부터 생활쓰레기매립을 금지하는수도권의 경우 새로운 소각시설을 지어야 하지만 주민 반대로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짙은 안개 탓에 하늘과 바다 경계도 흐릿했다.
바닷바람은 방향을 잃은 듯 사방에서 불었다.
600여명(450가구)이 사는 이 작은.
탈피해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수도권매립지는 서울 난지도매립지의 대체매립지로 정부와 서울시·인천시.
1992년 2월부터매립을 시작해 1, 2매립장의매립이 종료되고 현재 3-1매립장이 사용 중으로 매립률 6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